반응형
사업자등록을 할 때, 업종코드를 찾는 방법:
국세청 홈페이지 : 국세정보 > 국세청발간책자 > 기타참고책자를 선택해서 가장 최근 연도의 기준경비율, 단순경비율파일을 선택하기
유사한 업종코드가 여러개 있따면, 이왕이면 경비율이 높은 코드를 선택하는게 유리합니다. 왜냐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좋기 때문이죠.
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기준 수입금액 이하는 추계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.
추계 신고란? 납세자가 세무서에 제출해야하는 증빙 자료를 준비하지 못해 소득금액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죠. 그럴 때 납세자 스스로 소득이 어느 정도인가를 가늠하여 신고하는 것을 뜻하죠. 이 때 기준이 되는 경비율은 업종코드에 따라서 달라지게됩니다. 초창기에 장부를 실제로 기입해 실제로 쓴 경비만큼 인정받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혹시 내가 쓴 경비보다 국세청에서 인정해주는 경비가 더 크다면 추계신고를 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. ^^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추계신고는 납세자가 실제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, 소득을 추정하여 신고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 이는 소득세법이나 법인세법 등에 따라 소득을 산정할 때 적용되며,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집니다:
- 장부의 부실: 납세자가 장부를 작성하지 않았거나, 장부가 부실하여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.
- 소득 파악 곤란: 사업 운영 과정에서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.
추계신고 방법
추계신고는 국세청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다음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:
- 기준경비율 적용: 업종별로 정해진 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추정합니다.
- 단순경비율 적용: 사업 규모가 작은 경우, 단순한 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추정합니다.
- 유사 납세자 사례: 비슷한 조건의 다른 납세자의 소득을 참고하여 추정합니다.
추계신고의 장단점
장점:
- 실제 소득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소득 신고가 가능하여 납세의무를 이행할 수 있습니다.
- 간편하게 소득을 추정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.
단점:
- 실제 소득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추가 세금이나 과소납부에 따른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소득 추정 방식에 대한 이의 제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가능한 한 정확한 장부를 작성하고, 소득을 명확히 파악하여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#기준경비율 #단순경비율 #추계신고
반응형
'개인사업자 세무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의대여? 가능할까? (0) | 2024.07.07 |
---|---|
사업용 계좌란? 신고는? (0) | 2024.06.30 |
세금 신고시, 급여 + 부업 소득 합쳐서 신고하기 (0) | 2024.06.30 |
사업자 등록 후, 상호명 바꿀 수 있나요? (0) | 2024.06.30 |
요즘 문구점 이야기.(24년 6월) (3) | 2024.06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