업종코드 선택, 경비율이란?
본문 바로가기

개인사업자 세무 정보

업종코드 선택, 경비율이란?

반응형

사업자등록을 할 때, 업종코드를 찾는 방법:

국세청 홈페이지 : 국세정보 > 국세청발간책자 > 기타참고책자를 선택해서 가장 최근 연도의 기준경비율, 단순경비율파일을 선택하기

 

유사한 업종코드가 여러개 있따면, 이왕이면 경비율이 높은 코드를 선택하는게 유리합니다. 왜냐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좋기 때문이죠.

 

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기준 수입금액 이하는 추계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. 

 

추계 신고란? 납세자가 세무서에 제출해야하는 증빙 자료를 준비하지 못해 소득금액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죠. 그럴 때 납세자 스스로 소득이 어느 정도인가를 가늠하여 신고하는 것을 뜻하죠. 이 때 기준이 되는 경비율은 업종코드에 따라서 달라지게됩니다. 초창기에 장부를 실제로 기입해 실제로 쓴 경비만큼 인정받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혹시 내가 쓴 경비보다 국세청에서 인정해주는 경비가 더 크다면 추계신고를 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. ^^

 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추계신고는 납세자가 실제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, 소득을 추정하여 신고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 이는 소득세법이나 법인세법 등에 따라 소득을 산정할 때 적용되며,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집니다:

  1. 장부의 부실: 납세자가 장부를 작성하지 않았거나, 장부가 부실하여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.
  2. 소득 파악 곤란: 사업 운영 과정에서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.

추계신고 방법

추계신고는 국세청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다음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:

  1. 기준경비율 적용: 업종별로 정해진 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추정합니다.
  2. 단순경비율 적용: 사업 규모가 작은 경우, 단순한 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추정합니다.
  3. 유사 납세자 사례: 비슷한 조건의 다른 납세자의 소득을 참고하여 추정합니다.

추계신고의 장단점

장점:

  • 실제 소득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소득 신고가 가능하여 납세의무를 이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간편하게 소득을 추정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단점:

  • 실제 소득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추가 세금이나 과소납부에 따른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소득 추정 방식에 대한 이의 제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가능한 한 정확한 장부를 작성하고, 소득을 명확히 파악하여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
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#기준경비율 #단순경비율 #추계신고

반응형